Ujoo+Limheeyoung(우주+림희영) is a team composed of Ujoo(born 1976) and Lim Hee Young(born 1979). Since first working together in 2004 in preparation for a design competition, they have been involved in projects that use a variety of means of visual expression -- kinetic sculpture, drawings, real-time interactive videos -- to address the theme of absurdity of reality.
Title : PET band Material : Plastic waste, Stainless steel, Aluminum, Steel, Electronics, Sound device, BLDC motor, Stepper motor, Sensor, Fake fur
Size : Dimensions
variable
Year : 2023
PET band_Installation view Bucheon Art Bunker B39 Central control room
<Description> What
would animals tell human beings after they have died with their bellies full of
the plastic garbage that we have thrown away? How much beauty must we lose
before we can live in harmony with nature? PET band is a mechanical device that records and
plays back sounds on pieces of discarded plastic waste. Applying the principles
of Thomas Edison’s tin foil phonograph, the work uses PET waste to record the
voices of different people speaking about matters of human/nature coexistence,
including topics of environmental pollution, plastic trash, and climate change.
It consists of four plastic waste playback devices modeled on animals. The
different voices recorded on the PET waste are played back automatically and
simultaneously. The
recordings include a news report on glaciers melting due to global warming, the
story of a sperm whale that died after eating 22 kg of plastic waste,
information about mutations in animals as a result of the Chernobyl radiation
leak, and a briefing by the Minister of Environment on new environmental
policies. Meanwhile, the viewer hears the overlapping sounds of a voice
reciting poetry, the twittering of birds, and a trumpet performance of “La
Cucaracha.”
인간이 버린 플라스틱 쓰레기를 삼키고 뱃속에 각종 쓰레기가 가득한 채로 죽은 동물들은 인간에게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을까. 우리는 얼마나 많은 아름다움을 잃어버려야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을까.
<PET band>는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 위에 소리를
녹음하여 재생하는 기계장치이다. 에디슨의 틴 포일 실린더 축음기(Tin
Foil Phonograph)를 응용하여 환경오염, 플라스틱 쓰레기, 기후변화 등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해 이야기하는 각계각층 사람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PET 플라스틱 쓰레기 위에 기록한 작품이다. 동물 형상을 한 4대의 플라스틱 쓰레기 재생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PET 플라스틱 쓰레기
위에 녹음된 각각의 소리들이 동시에 자동 재생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녹아 내리는 빙하에 관한 뉴스, 22kg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먹고 죽은 향유고래 이야기, 체르노빌 방사능 유출로 인한 돌연변이 동물의 출현, 환경부 장관의 새로운 환경정책에 대한 브리핑 등이 흘러나오는 동시에 시를 낭송하는 소리, 새가 지저귀는 소리, 라 쿠카라차(La
Cucaracha) 트럼펫 연주소리 등이 서로 오버랩 된다.
Material : Plastic Waste, Stainless Steel, Steel, DC motor, Electronics, Sound Device, Sensor, Enamel
Size : Dimensions variable (Machine 220(w) x 140(d) x 180(h) cm)
Year : 2022
<Description>
The sounds of now-extinct beings emanate from a plastic fossil discovered by an intelligent lifeform from a future tens of thousands of years from now. Originating in something imagined during a documentary on the Anthropocene, Song from Plastic is a mechanical device in which sounds are recorded and played back on discarded plastic waste.
For this work, Thomas Edison’s “tin foil phonograph” approach is applied to record and play back the sounds of children’s voices, merry singing, and everyday noises on pieces of discarded plastic.
As it captures a record in plastic of different sounds—exceedingly ordinary sounds, yet ones that offer a sense of what makes human beings special—this work reflects on the meaning held by human values. What sort of traces should humans be leaving behind? If we are going to leave a record of our “humanity,” shouldn’t it be something other than plastic garbage?
@2022 K2 Studio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제공
작품명: Song from Plastic
재료: 폐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스틸, 철, 모터, 전자장치, 음향장치, 인체감지센서, 에나멜 도색
크기: 가변설치 (기계장치 220(W) X 140(D) X 180(H) cm)
제작년도: 2022
작품설명
몇 만년의 시간이 흐른 뒤 미래의 지적 생명체가 발견한 플라스틱 화석으로부터 멸종된 존재의 소리가 흘러나온다. 인류세(Anthropocene)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보며 든 상상에서 비롯한 “Song from Plastic”은 버려진 플라스틱 쓰레기 위에 소리를 녹음하여 재생하는 기계장치이다.
에디슨의 틴포일 실린더 축음기(Tin Foil Phonograph)를 응용하여 플라스틱 쓰레기 위에 아이들의 목소리, 흥겨운 노랫소리, 일상에서 들리는 소리 등을 기록하여 레코드처럼 감상하는 작품이다.
지극히 평범하지만 인간이 가진 특별함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소리를 플라스틱 쓰레기 위에 기록한 이 작품을 통해 인간 고유의 가치가 지닌 의미에 대해 되새겨 보고자 한다. 인간이 남기는 흔적은 무엇이어야 할까. 인간다움을 나타내는 흔적이 플라스틱 쓰레기는 아니어야 하지 않을까.
Machine with Tree is a kinetic sculpture combining dead trees with metal machinery. It is
designed to use the object’s
center of gravity to achieve a movement where the tree appears to float in
midair. In Machine with Tree, a dead
tree is placed at the end of a long, sharp rod on the machine. The tree slowly
moves back and forth with the machine’s movements, as though floating in
midair. Through its creation of artificial, bizarre movements controlled by
machinery, it illustrates a melancholy contemplation of the strange and
contradictory things woven together by our reality.
Since 2015, UJOO+LIMHEEYOUNG has been involved in projects using
everyday objects to create mechanical devices with odd and unfamiliar
movements.Through these projects, they have developed mechanical devices
that evoke feelings of discomfort and awkwardness – turning trees in midair, grinding and flinging rubber tubes, twisting
hair, and so forth. UJOO+LIMHEEYOUNG focuses on the emergent, unfamiliar movements
that result from the combination of machinery with ordinary, everyday objects
such as chunks of cement, hair, dead trees, red fluid, and silicone rubber.
<Machine with Tree>는 죽은 나무와 금속 기계가 결합된 키네틱 조각으로 사물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공중에 부유하는 듯한 나무의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고안된 기계장치이다.죽은 나무가 기계의 뾰족한 긴 막대 끝에 올려져 있고 나무는 기계의 움직임에 따라 공중에 떠다니듯 이리저리 천천히 움직인다. 기계에 의해 제어되는 인위적이고 어색한 움직임을 만들어 냄으로써 현실이 엮어내는 기이하고 모순적인 것들에 대한 음울한 사유를 보여준다.
우주+림희영은2015년부터 일상의 사물을 이용하여 어딘가 이상하고 익숙하지 않은 움직임을 가진 기계장치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공중에서 나무를 회전시키거나 고무를 비비거나 튕기고 머리카락을 꼬이게 하는 등 다소 불편하고 어색한 느낌들을 자아내는 움직임을 가진 기계장치들을 만들어 왔다. 시멘트덩어리, 머리카락, 죽은 나무, 붉은 액체, 실리콘 고무 등 일상의 평범한 사물과 기계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발적이고 낯선 움직임에 주목한다.
Machine with Tree
stainless steel, aluminum, steel, electronics, ac motor, dead tree
Title : Fountain with Red Material : stainless steel, water pump, red liquid, urethane paint
Size : 53(w) x 18(d) x 42(h) (cm)
Year : 2019
작품설명
<붉은 분수>는 붉은 액체가 동력이 되어 액체의 흐름에 따라 금속 부품이 끊임없이 회전하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가느다란 파이프의 좁은 구멍에서 흘러나오는 붉은 액체의 힘으로 금속바퀴를 움직인다. 붉은 액체가 흐르는 분수를 통해 현실이 엮어내는 기이하고 모순적인 것들에 대한 음울한 사유를 보여준다.
Fountain with Red (2019)
stainless steel, water pump, red liquid, urethane paint / 53(w) x 18(d) x 42(h) (cm) / 2019 /
Title : Machine with Pink Material : stainless steel, electronics, dc motor, silicone, urethane paint
Size : 48(w) x 27(d) x 45(h) (cm)
Year : 2019
작품설명
<Machine with Pink>는 유연한 분홍색 실리콘 고무와 금속기계가 결합된 키네틱 조각으로 고무 재질 특유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실리콘 고무의 유동적이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고안된 기계장치이다. <Machine with Pink>는 분홍색 실리콘 고무 덩어리들이 서로 비비고 늘어나고 튕겨지는 동작을 한다. 이 작품은 불합리한 현실에서 나는 과연 행복해질 수 있을까 라는 의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기형적 현실로부터 오는 불안과 혼란스러움을 표현하고 그럼으로써 좀더 본질적인 것을 갖춘 현실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We wanted to talk about loss. The harsh reality instilled in people a feeling of alarm, a sense of tension or antagonism, causing us to develop despairing ideas about the society in which we live. It was like a battle with something that lacks any substance. It felt like losing something beautiful; it felt empty. We sensed how you can no longer return to the beautiful moments of the past. We wished to address the disappointment of a reality where we wish to return to a time before we developed our despairing and pessimistic views – but things do not go as we hope.
상실감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냉혹한 현실은 사람에 대한 경계심이나 긴장감 혹은 적대감을 가지게 하고 내가 살고 있는 사회에 대해 절망적 시각을 가지게 했다. 실체가 없는 대상과의 싸움 같았다. 뭔가 아름다운 것을 잃어버린 기분이 들었다. 공허했다. 예전의 아름다웠던 순간으로 돌아갈 수 없음을 느꼈다. 절망적이고 비관적인 시각을 갖기 전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It was beautiful
Branch, DC motor, Aluminum, Steel, Electronics, sensor
400(W) x 400(D) x 260(H) cm / 2018